RESTful API
- REST API라고도 하며,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API의 약자입니다.
- 웹의 모든 자원에 고유한 ID인 HTTP URI 를 통해 자원을 명시합니다.
- HTTP Method 를 통해 해당 자원에대한 CRUD를 수행합니다.
:: HTTP Method : 요청 방식을 의미하며, POST, GET, PUT, DELETE 가 있습니다.
1) POST (생성): 서버에 데이터를 추가, 작성하는데 사용
ex) 회원가입
2) GET (조회):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취득하는데 사용
ex) 로그인 정보 조회
3) PUT (수정): 서버의 데이터를 갱신, 작성 시 사용
ex) 회원정보 변경
4) DELETE (삭제): 서버의 데이터를 삭제하는데 사용
ex) 회원 탈퇴
- Clinet에서 request를 보내면 Server는 response 로 응답을 합니다.
:: 하나의 자원은 JSON, XML, TEXT, RSS등의 형태로 표현됩니다.
:: 현재는 JSON 형식이 대부분입니다.
RESTful API 를 사용하는 이유
- JSON이나 XML, 메시지 기반 등의 통신을 사용하면서 Client와 Server를 분리하게 될 수 있습니다.
- Server가 독립적으로 작동하게 되면서 플랫폼에 제약을 받지 않게 됩니다.
- 따라서 RESTful API를 통해 모바일이나 PC 등의 플랫폼에 제약을 받지 않는 서버 개발이 가능해집니다.
'기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http와 https (0) | 2024.05.30 |
---|---|
[제로베이스] JavaScript 과제를 수행하면서 (0) | 2024.05.24 |
[제로베이스] 한달 동안 프론트엔드 스쿨을 수행하면서 (0) | 2024.03.31 |
제로베이스 프론트엔드 스쿨 - HTML/CSS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(0) | 2024.03.29 |
내가 생각하는 프론트엔드 개발과 백엔드 개발의 차이점 (0) | 2024.03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