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Git 설치하기
Git - Downloads
Downloads macOS Windows Linux/Unix Older releases are available and the Git source repository is on GitHub. GUI Clients Git comes with built-in GUI tools (git-gui, gitk), but there are several third-party tools for users looking for a platform-specific exp
git-scm.com
OS 에 맞게 설치하면 됩니다.
2. Git 사용자 설정하기
&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kyojun2002@naver.com"
&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jeongkyojun"
> 우클릭을 누르고 위의 git Bash Here를 누르면 터미널이 나오는데, 해당 터미널에서
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[내 깃허브 아이디]"
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[내 깃허브 이름]"
를 입력합니다.
& git config --list
> 입력 확인은 gif config --list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user.email = [내가 입력한 아이디]
- user.name = [내가 입력한 이름]
3. SSH 공개키 만들기
Git - SSH 공개키 만들기
많은 Git 서버들은 SSH 공개키로 인증한다. 공개키를 사용하려면 일단 공개키를 만들어야 한다. 공개키를 만드는 방법은 모든 운영체제가 비슷하다. 먼저 키가 있는지부터 확인하자. 사용자의 SSH
git-scm.com
& cd ~/.ssh
> "cd ~/.ssh"를 입력하여 .ssh 폴더로 접근합니다.
& cd ~
& mkdir .ssh
& cd .ssh
> 만약 .ssh 파일이 존재하지 않아 오류가 생긴다면 .ssh 폴더를 만듭니다.
& ssh-keygen
Enter file in whish to save the key() : [공개키 이름]
Enter passphrase (empty for no passphrase) : [비밀번호, 비우려면 엔터 입력]
Enter same passphrase : [비밀번호 확인]
> "ssh-keygen" 을 입력하여 ssh 공개키를 만듭니다.
> ssh 공개키는 터미널에서 접근한 경로에 만들어집니다.
이후 ls 명령어를 입력하면 만든 SSH 공개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& cat ~/.ssh/[내가 만든 공개키 파일].pub
> cat 명령어를 사용하여 pub파일을 읽을 수 있습니다.
4. Github 계정에 연결하기
1) 공개키 복사하기 : cat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는 'ssh-rsa' 로 시작하는 문자열을 복사한다.
2) 깃허브 세팅에 들어간다.
> 'setting' - 'SSH and GPG keys' - "New SSH key" 누르기
3) Title과 key 값 입력하기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 Branch (0) | 2024.03.08 |
---|---|
Git 사용하기 (0) | 2024.03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