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1. Git 초기화
> git init 입력시 해당 폴더에 .git 파일이 생성됩니다.

- .git 폴더에는 커밋과 브런치 내역, 로컬 설정등이 존재한다.
> Git 삭제
- 단순하게 .git 폴더를 삭제한다.
- mac의 경우 rm -rf.git 을 입력한다.
2. Git repository 연결
> github에 만든 repository에 들어갑니다.
> code를 누르고 repository 주소를 복사합니다.


git remote add origin [repository 주소]
> 이후 연결하고자 하는 폴더에 git remote add origin [복사한 주소] 를 입력합니다.
> 주소 붙여넣기는 shift + insert 를 사용하여 붙여넣기할 수 있습니다.
$ git remote
origin
> 이후 git remote를 입력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.
3. 원격 저장소에 반영하기
- git에는 Staging Area, 로컬 저장소, 원격 저장소, 이렇게 세가지의 영역이 있습니다.
- gitHub와 연결된 내 컴퓨터의 폴더는 Working Directory 라고 합니다.
& git add .
> git add . 를 하여 Working Directory의 변경값을 Staging Area에 올립니다.
- 변경 사항이 없다면 add 되지 않습니다.
- 특정 파일만 올리고 싶다면 . 대신 파일이나 Directory 경로를 입력합니다.
- 모든 변경된 파일을 올리고 싶다면 마침표(.) 를 입력합니다
& git commit -m "커밋메시지"
> git commit 을 사용하여 Staging Area에 add 한 것들을 로컬 저장소에 올립니다.
- 이때 git commit -m "커밋 메시지" 를 사용하여 커밋 메시지를 같이 적습니다.
& git push origin [브랜치명]
> git push를 사용하여 로컬 저장소에 올린 것을 원격 저장소에 반영합니다.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it Branch (0) | 2024.03.08 |
---|---|
GitHub 시작하기 (0) | 2024.03.08 |